윈도우 10에서는 메일 서비스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개별적으로 접속하지 않고도 사용 중인 계정의 메일을 수신 및 발신을 할 수 있는데요.
한국인의 경우 구글과 국내 대형 포탈 다음,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메일 계정을 많이 사용할 텐데 모든 계정을 한 번에 관리가 가능합니다.
추가적인 메일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자체 포함하고 있는 Windows mail 앱을 실행하고 계정을 추가하여 주는데 Gmail의 경우 구글+를 선택하여 추가가 가능합니다.
로그인 화면이 나오면 사용 중인 구글 메일 주소와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면 연결이 됩니다.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간단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PC에서 삭제를 하면 서버에서도 삭제가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겠네요.
동기화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메일을 읽어 오기 시작하면 연결한 계정으로 발신, 수신 모두 가능합니다.
보유 중인 계정을 추가 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중인 메일 계정을 여러 개를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왼쪽 하단의 톱니 모양 아이콘을 선택한 후 '계정관리' > '계정 추가'를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는데 구글, 야후 등의 계정이 아닌 Naver, Daum 같은 국내 포털 계정의 경우에는 '다른 계정'을 선택하여 추가할 수가 있습니다.
약간 다른 방식으로 동기화를 하는데 추가적인 설정 없이 어렵지 않게 메일 주소와 로그인 비밀번호만 정확하게 입력하면 연결이 가능하며 보내는 이름은 표시될 적당한 이름을 정해주면 됩니다.
추가한 계정은 개별적으로 삭제가 가능하고 비밀번호가 등록되면 이후 자동 로그인이 되어 누구나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컴퓨터의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국인의 경우 구글과 국내 대형 포탈 다음,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메일 계정을 많이 사용할 텐데 모든 계정을 한 번에 관리가 가능합니다.
추가적인 메일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자체 포함하고 있는 Windows mail 앱을 실행하고 계정을 추가하여 주는데 Gmail의 경우 구글+를 선택하여 추가가 가능합니다.
로그인 화면이 나오면 사용 중인 구글 메일 주소와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해주면 연결이 됩니다.
동기화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메일을 읽어 오기 시작하면 연결한 계정으로 발신, 수신 모두 가능합니다.
보유 중인 계정을 추가 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중인 메일 계정을 여러 개를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왼쪽 하단의 톱니 모양 아이콘을 선택한 후 '계정관리' > '계정 추가'를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는데 구글, 야후 등의 계정이 아닌 Naver, Daum 같은 국내 포털 계정의 경우에는 '다른 계정'을 선택하여 추가할 수가 있습니다.
약간 다른 방식으로 동기화를 하는데 추가적인 설정 없이 어렵지 않게 메일 주소와 로그인 비밀번호만 정확하게 입력하면 연결이 가능하며 보내는 이름은 표시될 적당한 이름을 정해주면 됩니다.
추가한 계정은 개별적으로 삭제가 가능하고 비밀번호가 등록되면 이후 자동 로그인이 되어 누구나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컴퓨터의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